지난주 리눅스 서버에 cubrid DBMS를 설치 했기에 메모한다.
설치할 때 캡처를 하지 못한 관계로 기억을 더듬어 프로세스 위주로 기록한다.
1. 리눅스 서버에 jdk를 설치/환경변수 세팅을 한다.(환경변수는 선택사항이 될수도)
2. cubrid 리눅스 버전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후 서버의 설치 경로에 업로드 한다.
3. 설치한 cubrid 설치파일을 실행 해서 설치를 진행한다.
sh CUBRID-11.2-latest-Linux.x86_64.sh
실행 후 전부 Y를 입력 후 엔터를 눌러서 진행한다.
아래처럼 표시가 되면 정상 설치가 된것이다.
Unpacking finished successfully
demodb has been successfully created.
4. cubrid.sh파일이 있는 곳(보통 접속한 유저의 home 경로인 듯)으로 이동 후 아래 명령어로 셸을 실행한다.
sh cubrid.sh
위 셸을 실행해야 cubrid service start같은 명령어가 먹는다고 한다.(최초 1번만 하면 되는 듯)
아래 명령어로 cubrid service를 구동한다.
cubrid service start
cubrid master, broker, manager가 전부 start success되야 한다.
아래 명령어로 구동 여부를 확인한다.
cubrid service status
그리고 포트를 열기 위해 아래 명령어로 cubrid에서 사용하는 포트 목록을 확인한다.
netstat -tnlp | grep cub_*
그 다음 외부 접속을 위해 방화벽에서 포트를 허용한다.(해당 계정의 sudo 권한 필요)
# 8001부터 8021까지의 포트 허용
sudo firewall-cmd --add-port=8001-8021/tcp --permanent
# 30000부터 30100까지의 포트 허용
sudo firewall-cmd --add-port=30000-30100/tcp --permanent
# 33000부터 33100까지의 포트 허용
sudo firewall-cmd --add-port=33000-33100/tcp --permanent
# 1523 포트 허용
sudo firewall-cmd --add-port=1523/tcp --permanent
# 변경된 설정 적용
sudo firewall-cmd --reload
이제 서버 외부에서 cubrid admin 툴을 통해 해당 서버의 cubrid DBMS에 접속을 시도해본다.
admin 포트는 8001이고 계정 초기값은 admin/admin이다.
접속이 되면 실제 사용 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후 사용한다.
개인 스터디 기록을 메모하는 공간이라 틀린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틀린 점 있을 경우 댓글 부탁드립니다.
'IT >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리눅스(CentOS) 방화벽 해제 (22) | 2023.12.30 |
---|---|
[linux] linux svn install/setting (feat. redhat) (21) | 2023.12.30 |
[Docker] Docker Compose sample(feat. API Server) (52) | 2023.11.07 |
[Docker] Docker Compose [2] (feat. network) (48) | 2023.11.05 |
[Docker] Docker Compose [1] (feat. volumes) (45) | 2023.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