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development

[IDE] IntelliJ Spring MVC Project import (feat. maven)

알 수 없는 사용자 2023. 12. 22.

목차

최근 IntelliJ에서 추억의 spring MVC project를 import할 일이 있어 삽질 끝에 성공해서 이를 기록한다.

빌드 툴은 maven이었다.

우선 경험을 토대로 얘기하면 maven 프로젝트에서 필요한 건 src, pom.xml 2개만 있으면 된다.

[IDE] IntelliJ Spring MVC Project import (feat. maven)

인텔리제이 실행 후 New > Project from Existing Sources 선택 후 가져올 프로젝트 선택

[IDE] IntelliJ Spring MVC Project import (feat. maven)

Import Project에서는 Eclipse 선택된 상태로 그대로 Next(Maven 선택이 아니다.)

[IDE] IntelliJ Spring MVC Project import (feat. maven)

프로젝트이름과 경로 확인 후 Next

[IDE] IntelliJ Spring MVC Project import (feat. maven)

Next로 넘어가고 SDK 선택하는 창에서 사용할 SDK 선택 후 Next

[IDE] IntelliJ Spring MVC Project import (feat. maven)

Create를 누른다.(버전에 따라 명칭은 다를 수 있음)

그리고 버전에 따라 다를 수 있는데 인텔리제이의 이벤트 로그 혹은 Notifications를 보면 Load Maven Project가 보일텐데 이를 선택한다.

[IDE] IntelliJ Spring MVC Project import (feat. maven)

아마도 저 버튼을 누르면 maven 프로젝트로 변환하는 것 같다.

그리고 나면 project창에 프로젝트명이 보일거다.

그 후 jdk 버전 맞추고 maven탭 > Lifecycle > install로 빌드를 해준다.

[IDE] IntelliJ Spring MVC Project import (feat. maven)

그 후 Edit Configurations 선택 후 +를 눌러 tomcat local을 선택한다.

[IDE] IntelliJ Spring MVC Project import (feat. maven)

하단을 보면 artifacts가 없다고 나오는데 Fix를 누르고 exploded 버전인 2번 째를 누른다.

[IDE] IntelliJ Spring MVC Project import (feat. maven)
[IDE] IntelliJ Spring MVC Project import (feat. maven)

이는 war파일로 배포하는게 아니라 war파일이 풀린 폴더 형태로 배포 하기 때문에 서버를 재시작하지 않고도 변경사항을 리로드 할 수 있다.(로컬에서 배포할거니까 이 버전을 택했다.)

그 후 tomcat 옵션을 선택한다.

참고로 Open browser에서 After launch 옵션을 체크하면 서버가 실행될 때마다 브라우저에 새 탭으로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되서 나는 옵션을 껐다.

Tomcat Server Settings의 port는 당연히 중복되면 안된다.

[IDE] IntelliJ Spring MVC Project import (feat. maven)

이제 서버를 실행해보자. 알림창을 보고 port가 중복되는지 등 이슈를 체크 후 문제를 해결하면 된다.


개인 스터디 기록을 메모하는 공간이라 틀린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틀린 점 있을 경우 댓글 부탁드립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