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계발(성장)/마케팅_기획

[Trend] 2022 트렌드 회고(Feat. 트렌드코리아 2023)

Bo-yak 2022. 12. 22. 12:36
반응형

출처 : unsplash

 

1. 나노사회 

1) 공동체 사회 : 분열(러/우 전쟁, 국내 정치구도 갈등) / 성별, 나이, 직업 등 분열 조장&충돌 ------  ex. NO xx 존
2) 초개인화 기술 : 나노 유통 확산(개인 대 개인 거래 플랫폼)
ex. 해주세요. 당근, 키노라이츠(어플 OTT 서비스) - 콘텐츠세분화
- C2C 모델의 확산
- POD 커머스 : 창의적인 디자인만 있으면 복잡한 머친다이징 절차없이 온라인에서 상품 판매하는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 플랫폼(Print on Demand)
- D2C : Direct to Consumer - 제조사가 소비자에게 직접판매(유통사 X)
- C2M : Customer to Manufacturer - "온디맨드" 비즈니스 : 소비자의 주문이 들어오면 즉각 제품을 만드는 생산방식
3) 나노자아 >>> 고독 사회 초래(고립, 고독, 우울감 등)
- MZ세대 : 개인주의 (피해주는 것/받는 것 싫어한다. 다른 사람과 갈등을 회피한다.)
- 나노가족(1인가구) : 새로운 가족 형태, 다양성 인정, 프로그램(돌싱글즈, 결혼과 이혼사이 etc)
4) 나노노동 : N잡러,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배달 라이더 etc)

 

2. 대투자 시대 생존법
금리인상, 인플레이션 등 불안한 소비자의 단면으로 머니러시 : 파이프라인의 다각화 >>> 재테크, 시테크, 덕테크 형태 

1) 재테크
- 안전 자산으로 돌아오기(예적금 상품 인기 급증, 주식시장에서의 가파른 자금 이탈 현상)
- 소액으로 투자하기(소수점 거래, 조각투자 - ex. 카사코리아, 뮤직카우, 트위그, 뱅카우, 트레져러 etc)
2) 시테크 : 영화 [인타임]
- 내 시간 보상받기(걷기, 운동, 운전, 수면, 게임시간 등 해당 앱 ON), M2E(Move to Earn - ex. 캐시워크, 지오디비, 스테픈)
- 내 시간 공유하기 : OO 윗미(with me) 영상 - ex. 남의집
3) 덕테크 
- 좋아하는 대상에 투자하기(ex. 주술회전, 포켓몬, 앙스타, NFT 예술 etc)
- 좋아하는 취미 활동으로 N잡하기(ex. 희귀식물 재테크, 레터링 풍선, 캔들 공예 etc)

재테크하면서 나만의 가치를 표현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나다운 재테크 찾기!

 

3. 슬기로운 엔데믹 생활 = "자기돌봄"

1) 티끌모아 성장 - 바른생활루틴이(습관공동체)
- 온라인으로 관리하기(ex. 네이버밴드, 클래스 101 etc)
- 오프라인으로 관리하기(ex. 다이어리북 #다꾸, 생활비달력, 가계부 --- 손맛 etc)
2) 재미모아 성장 - 헬시플레져
- 마이너스 전략
(소식좌 - 맞춤형 미니사이즈 상품, Low 푸드 위상 증가 - 제로 칼로리 탄산/무카페인/무알콜/제로 슈가, 채식 - 비건)
- 플러스 전략 (화이트 미트 White Meat, 단백질 보충제 → 음료형태)
3) 힘을 모아 가치
- 사람을 모아 더 큰 가치를 : "야핏사이클", 엔데믹 시대 단체운동법(앱 활용) >>> ex. Runday, 버추얼레이스시스템
- 챌린지를 모아 사회적 가치를 : ex. 챌린저스, 혼족의 제왕(도전 원룸 탈출, 도전 오늘의 살림 etc)
4) 기업과 소비자 모두 낙숫물이 바위를 뚫는 인내를 >>>>>> 꾸준함으로 꿈을 이루자!
루틴이 트렌드,, 불황경제 생존법 : ex. 짠테크, 무지출챌린지

 

4. 일상 속 오아시스를 찾아서...

1) 시골 오아시스 
#시골여행/촌캉스/농촌라이프 - 러스틱 라이프, 시골장기숙박 "롱스테이 상품", 워케이션(Work + Vacation)
2) 도시 오아시스 - 욕실, 휴양(ex. 후암별채아누스)
로코노미 트렌드 : 로컬 (2022년 트렌드의 핵심) - 현백 부산점 '범일상회', '시몬스파머스마켓' 
#뷰맛집/산뷰/논뷰/숲멍/물멍
3) 추억 오아시스 
- 드라마, 싸이월드, 프로그램(TV), 음악, 식품(레트로 마케팅 - ex. 검정고무신 롯데마트, 포켓몬빵)
- 게임시장 : 뉴트로(ex. DK 온라인, 대항해시대)
"위기 속에서 빛나는 본질적 가치의 힘" = 개인+가족의 삶 중시
- 자기 지역만의 유일무이한 내러티브 고민과 소비자 경험(CX) 설계가 필요 >>> ex. 짐보관, 굿럭-휠체어 고객

 

5. 메타버스와 네러티브가 만드는 새로운 현실

1) 메타버스 - ex. 메타, 제페토 / 영역을 넓히다
2) 디지털 그라데이션 - 가상과 현실을 잇다
3) 네러티브 - 세계관을 만들다

 


[2022년 10대 트렌드 상품]

  • 소비자가 제품 및 서비스를 선택하는 기준이 다양화 되고 있음
  • 자신의 이야기를 공유하거나 좋아하는 콘텐츠에 대해 소통하며 즐거움 찾는 소비자들이 늘어남
  • 보편적으로 괜찮은 상품보다 소수의 니치한 니즈를 충족시키는 특화상품이 중요해짐
  • 일상에서 작은 비일상적 요소가 주는 편리와 재미를 추구하는 현상이 두드러짐(비대면 플랫폼)

1. K콘텐츠  /  2. 비대면플랫폼   /  3. 캐릭터 기획 상품  /   4. 상담예능  /   5. 친환경 포장
6. 제로음료 /  7. 이색주류  /   8. 셀프사진관  /  9. 새치샴푸   /  10. 도심 근교 대형 카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