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ps5 [AWS] 개별 EC2 아키텍처 구축 – Nginx 리버스프록시 + Tomcat 2대 이 포스팅에서는 아키텍처 버전2를 구축하는 과정을 다룬다.버전1에서는 Web, WAS1,2번을 하나의 EC2 인스턴스에서 Docker compose로 관리했지만이번에는 각 서버를 개별 EC2 인스턴스로 분리했고 각 서버에서 Docker로 컨테이너로 서비스를 실행시킨다.크게 어려울 건 없고 중요한 점은 WAS1,2번 서버에서 인바운드 규칙에 EC2 1번 Nginx 서버에게 9090, 9091포트(개발자 마음)를 허용해줘야 하고 RDS에서 2,3번 EC2 서버에게 3306포트를 허용해야 한다.첫번 째 EC2 인스턴스에 프리티어 스토리지 용량을 최대치인 30GB를 할당했기 때문에 2번 째 3번 째 인스턴스의 스토리지 용량은 t2.micro 유형의 최소용량인 8GB로 할당해서 생성한다.그리고 외부에서 접속 할 .. IT/DevOps 2025. 2. 15. [AWS] 서버 및 DB 구축/배포 기본 가이드: 무경험자도 쉽게 시작하기 이 포스팅은 AWS 회원가입부터 EC2/RDS 인스턴스 생성 및 웹서버와 연동한 기본 가이드입니다.빠른 시일내에 AWS 회원가입부터 아키텍처 3까지 구축하는 라이브 영상 포스팅 예정입니다.2025년 2월15일 07:40 기준 아키텍처 버전1은 완료된 상태입니다. 😄2025년 2월17일 22:12 기준 아키텍처 버전2도 완료된 상태입니다. 😃2025년 2월20일 11:00 기준 아키텍처 버전3도 완료된 상태입니다. 🤠아키텍처 버전1단일 EC2 인스턴스에 Docker로 Web/Was를 구축 후 DB와 연동아키텍처 버전2개별 EC2 인스턴스에 Docker로 Web, Was 1, Was 2를 구축 후 DB와 연동아키텍처 버전3아키텍처 버전2에서 DB 이중화(Master-Slave)AWS에 서버, DB 설치.. IT/DevOps 2025. 2. 8. [linux] 리눅스에 cubrid 설치(feat. cubrid 11.2 ver) 지난주 리눅스 서버에 cubrid DBMS를 설치 했기에 메모한다. 설치할 때 캡처를 하지 못한 관계로 기억을 더듬어 프로세스 위주로 기록한다. 1. 리눅스 서버에 jdk를 설치/환경변수 세팅을 한다.(환경변수는 선택사항이 될수도) 2. cubrid 리눅스 버전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후 서버의 설치 경로에 업로드 한다. 3. 설치한 cubrid 설치파일을 실행 해서 설치를 진행한다. sh CUBRID-11.2-latest-Linux.x86_64.sh 실행 후 전부 Y를 입력 후 엔터를 눌러서 진행한다. 아래처럼 표시가 되면 정상 설치가 된것이다. Unpacking finished successfully demodb has been successfully created. 4. cubrid.sh파일이 있는 곳.. IT/DevOps 2023. 12. 23. [Docker] Docker image pull/remove(feat. Docker Hub) 전제조건: Docker Hub 회원가입, Docker 설치 도커허브에서 원하는 이미지명을 검색, 선택 후 복사(여기선 우분투를 선택) 그 후 cmd나 powerShell에서 붙여넣고 실행하면 이미지가 설치된다. 이미지를 삭제하려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docker rmi ubuntu#이미지명 만일 아래처럼 repository명이 같을 경우엔 IMAGE ID의 해시값을 이용해서 삭제하면 된다. 전부 다 입력할 필요는 없고 앞 세글자 정도 입력하면 된다. ubuntu 최신버전 이미지만 삭제가 되었다. Docker에서 image는 설치파일, 기타 파일들이 묶인 패키지라고 보면 되고 컨테이너는 각 이미지들이 실행되어 인스턴스화 된 상태라고 이해하면 된다. 원하는 이미지를 pull로 땡겨오고 컨테이너화 .. IT/DevOps 2023. 10. 25. [Git] Git Branching Strategy(feat. 브랜치 전략) ppt로 작성하려고 했으나 너무 시간이 오래 걸릴 것 같아서 그림은 이걸로 하고 텍스트로 보충master branch 😎실제 운영서버에 올라가는 최종 릴리즈 버전 브랜치candidate branch 😭QA Server에 배포해서 실서버 반영 전 검증하는 브랜치candidate branch에서 최종 검증이 되면 그 때 master에 반영master branch에 올라가기 바로 전 소스dev branch 🙄개인 브랜치에서 로컬 검증 후 개발서버에서 돌리는 용도의 브랜치개발서버에서 돌려보는 용도라서 온갓 잡다한 소스가 다 있을 수 있다.(버그가 있는 소스 등등)절대 이 branch는 master나 candidate branch로 반영하면 안된다.persnal branch 😛개발자 각자 개발하는 용도의 .. IT/development 2023. 8. 2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