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DevOps

[AWS] AWS IAM 사용자로 인스턴스 생성/ssh 접속

알 수 없는 사용자 2023. 8. 21.

IAM 사용자로 로그인 😊

[AWS] AWS IAM 사용자로 인스턴스 생성/ssh 접속 - undefined - IAM 사용자로 로그인 😊
계정 별칭으로 로그인

계정별칭 생성법은 아래 포스팅 참조

 

[AWS] AWS 계정 별칭 사용법

IAM 서비스 이동 😄 대시보드 > 우측 AWS 계정 > 계정 별칭 생성 별칭 입력 후 변경 사항 저장 기본적으로 AWS 로그인 시 계정ID를 이용해서 IAM계정이 로그인하는데 계정ID는 민감한 정보라서 노출이...

yaga.tistory.com

[AWS] AWS IAM 사용자로 인스턴스 생성/ssh 접속 - undefined - IAM 사용자로 로그인 😊

EC2 서비스 이동

[AWS] AWS IAM 사용자로 인스턴스 생성/ssh 접속 - undefined - IAM 사용자로 로그인 😊

인스턴스 시작 선택

IAM 유저에 권한이 없어서 X표시되는건데 이 포스팅에선 무시하면 된다.

[AWS] AWS IAM 사용자로 인스턴스 생성/ssh 접속 - undefined - IAM 사용자로 로그인 😊

인스턴스 정보 입력 😄

이름 및 태그 입력

[AWS] AWS IAM 사용자로 인스턴스 생성/ssh 접속 - undefined - 인스턴스 정보 입력 😄

프리티어만 해당에 체크해서 프리티어 사용 가능 목록 중 원하는 서버 선택

[AWS] AWS IAM 사용자로 인스턴스 생성/ssh 접속 - undefined - 인스턴스 정보 입력 😄

인스턴스 유형 선택(프리티어는 t2.micro밖에 없음)

[AWS] AWS IAM 사용자로 인스턴스 생성/ssh 접속 - undefined - 인스턴스 정보 입력 😄

키 페어

새 키 페어 생성 선택(ssh 로그인 시 키 페어를 사용하여 로그인 해야 함)

[AWS] AWS IAM 사용자로 인스턴스 생성/ssh 접속 - undefined - 인스턴스 정보 입력 😄 - 키 페어

키 페어 이름 입력 후 키 페어 유형은 RSA, 프라이빗 키 파일 형식 선택 후 키 페어 생성 선택

사용하는 OS에 따라 프라이빗 키 파일 형식 선택

[AWS] AWS IAM 사용자로 인스턴스 생성/ssh 접속 - undefined - 인스턴스 정보 입력 😄 - 키 페어

키 페어 생성 선택하면 키 페어 다운로드 창이 표시되고 로컬에 잘 저장해 둔다.(ssh 접속 시 필수)

개인키라서 절대 유출되면 안된다.

[AWS] AWS IAM 사용자로 인스턴스 생성/ssh 접속 - undefined - 인스턴스 정보 입력 😄 - 키 페어

위에서 생성한 키 페어 선택

[AWS] AWS IAM 사용자로 인스턴스 생성/ssh 접속 - undefined - 인스턴스 정보 입력 😄 - 키 페어

네트워크 설정

퍼블릭 IP 자동 할당은 비활성화로 선택한다.(탄력적 IP 사용해서 고정 아이피를 할당 할 예정)

인바운드 보안 그룹 규칙은 3개를 추가 했다.(인바운드는 외부에서 서버로 들어오는 걸 허용하는 걸 의미)

ssh 통신 위해 22번 포트, HTTP 통신 위해 80 포트, 개발 전용 8080포트(이건 선택사항)

지금은 0.0.0.0으로 전부 다 열었지만 특정 아이피만 허용하도록 추후 변경하는걸 권장한다.

[AWS] AWS IAM 사용자로 인스턴스 생성/ssh 접속 - undefined - 인스턴스 정보 입력 😄 - 네트워크 설정

스토리지 설정

스토리지 볼륨 선택(프리티어는 최대 30GB까지 가능하니까 30으로 늘린다.)

[AWS] AWS IAM 사용자로 인스턴스 생성/ssh 접속 - undefined - 인스턴스 정보 입력 😄 - 스토리지 설정

최종 검토 후 인스턴스 시작 선택

[AWS] AWS IAM 사용자로 인스턴스 생성/ssh 접속 - undefined - 인스턴스 정보 입력 😄 - 스토리지 설정

인스턴스가 정상적으로 시작되었다.

[AWS] AWS IAM 사용자로 인스턴스 생성/ssh 접속 - undefined - 인스턴스 정보 입력 😄 - 스토리지 설정

인스턴스 탭 선택하면 인스턴스가 실행 중으로 표시된다.

[AWS] AWS IAM 사용자로 인스턴스 생성/ssh 접속 - undefined - 인스턴스 정보 입력 😄 - 스토리지 설정

인스턴스 ID(보안 상 가렸음) 누르면 아래처럼 인스턴스 요약 정보가 표시됨

[AWS] AWS IAM 사용자로 인스턴스 생성/ssh 접속 - undefined - 인스턴스 정보 입력 😄 - 스토리지 설정

탄력적 IP

고정 아이피를 등록하기 위해 네트워크 및 보안 > 탄력적 IP를 선택한다.

[AWS] AWS IAM 사용자로 인스턴스 생성/ssh 접속 - undefined - 인스턴스 정보 입력 😄 - 탄력적 IP

탄력적 IP 주소 할당 선택

[AWS] AWS IAM 사용자로 인스턴스 생성/ssh 접속 - undefined - 인스턴스 정보 입력 😄 - 탄력적 IP

내용 확인 후 할당 선택

[AWS] AWS IAM 사용자로 인스턴스 생성/ssh 접속 - undefined - 인스턴스 정보 입력 😄 - 탄력적 IP

탄력적 IP주소가 할당 되었고 이를 이제 인스턴스에 연결해야 한다. 

우측 상단 이 탄력적 IP 주소 연결 선택

[AWS] AWS IAM 사용자로 인스턴스 생성/ssh 접속 - undefined - 인스턴스 정보 입력 😄 - 탄력적 IP

보안 상 가렸는데 탄력적 IP 주소가 표시되고 인스턴스와 프라이빗 IP주소를 선택 후 연결 선택

클릭하면 목록에 나오는 인스턴스와 프라이빗 IP주소 선택하면 된다.

[AWS] AWS IAM 사용자로 인스턴스 생성/ssh 접속 - undefined - 인스턴스 정보 입력 😄 - 탄력적 IP

탄력적 IP주소가 인스턴스에 연결되었다고 표시됨

※ 탄력적 IP를 연결한 인스턴스가 중지 중일 경우 과금 된다고 함(실행중인 인스턴스에 연결해야 함)

프리티어 기간 종료 될 경우 인스턴스에서 탄력적 IP 연결 끊고 탄력적 IP 삭제 해야 함,

물론 인스턴스도 종료해야 함

[AWS] AWS IAM 사용자로 인스턴스 생성/ssh 접속 - undefined - 인스턴스 정보 입력 😄 - 탄력적 IP

인스턴스 누르면 아래처럼 인스턴스 요약이 표시되고 퍼블릭 IPv4 DNS보면 탄력적 IP가 적용이 되었다.

ssh 접속 😎

ssh로 인스턴스에 접속하기 위해서 우측 상단 연결을 선택한다.

[AWS] AWS IAM 사용자로 인스턴스 생성/ssh 접속 - undefined - ssh 접속 😎

SSH 클라이언트 탭을 선택 후 하단 ssh -i로 시작하는 명령어를 복사한다.

[AWS] AWS IAM 사용자로 인스턴스 생성/ssh 접속 - undefined - ssh 접속 😎

ssh 프로그램(여기선 mobaXterm 사용) 실행, 키페어 있는 경로 이동 후 ssh -i 명령어 입력 후 실행

간혹 복붙 과정에서 ~ 이런 문자가 붙는 경우가 있으니 복붙한 명령어에서 불 필요한 문자는 지운다.

정상적으로 접속되면 아래처럼 ssh로 접속이 된다.

AWS를 이용해서 내가 만든 가상 서버에 ssh로 접속을 했다. 😃

[AWS] AWS IAM 사용자로 인스턴스 생성/ssh 접속 - undefined - ssh 접속 😎


개인 스터디 기록을 메모하는 공간이라 틀린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틀린 점 있을 경우 댓글 부탁드립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