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ETC19 [linux]리눅스 디렉토리 & 파일 목록 출력(ls) 목차 아마 리눅스를 배우면서 제일 먼저 배우는 명령어중 하나일 듯 싶음 list의 약자로 ls 명령어를 입력 시 현재 위치한 경로의 디렉토리, 파일 목록들이 표시되는데 보통 -옵션을 넣어서 많이 사용함 기본 사용법이고 나머지는 구글링 하시면 됩니다. IT/ETC 2022. 11. 26. [linux]리눅스 chmod(change mod) 폴더, 파일 권한 목차 리눅스에서는 폴더 또는 파일의 권한을 변경하기 위해서 chmod 명령어를 사용함 #r : 읽기, #w : 쓰기(생성, 삭제, 수정 포함) #x : 실행 ex) drwxr-xr-x. 위 권한의 의미 : 디렉토리를 이며 소유주는 읽고 쓰고 실행 모두 가능, 소유그룹은 읽기, 실행만 가능, other역시 읽기 실행만 가능하다는 소리임 위처럼 테스트폴더의 내용이 있음 해당 폴더 또는 파일의 권한을 변경하기 위해선 보통 최고관리자인 root 계정으로 작업을 함 #chmod 755(소유주는 모든 권한 부여, 소유그룹과 기타는 읽고 실행만 가능) #chmod 777(소유주, 소유그룹, 기타 모두 읽고 쓰고 실행 모두 가능) 이런식으로 표현할 수도 있고 직접 아래처럼 chmod +w 이런식으로도 표현 가능 참조 .. IT/ETC 2022. 11. 26. [linux]리눅스 오라클 11gR2 삭제 목차 # 오라클 계정으로 접속 [devLsy@centos7 ~]$ su - oracle # $ORACLE_HOME 위치로 이동 [oracle@centos7 ~]$ cd $ORACLE_HOME # deinstall 폴더로 이동 [oracle_dev@centos7 dbhome]$ cd deinstall/ 오라클 deinstall 폴더 조회 # 오라클 deinstall 셸 실행 [oracle_dev@centos7 deinstall]$ ./deinstall 셸 실행해서 삭제 프로세스 진행 # root계정으로 /etc폴더의 oraInst.loc & oratab 파일 삭제 [root@centos7 ~]# rm -rf /etc/oraInst.loc [root@centos7 ~]# rm -rf /etc/oratab #.. IT/ETC 2022. 11. 26. [IT] SW사업 대가산정 기능(FP)점수 산정방식(EI, EO, EQ, ILF, EIF) 목차SW 대가 산정 방법 중 기능점수 산정법(FP 산정) 관련, 내가 보기 위해 기입 ※ 기능점수 : 논리적 설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 규모를 정량적으로 표현하는 단위를 뜻함SW사업대가산정_Tool을 이용해서 작성, 작성 단계는 기획 및 구현단계 & 운영단계가 있음FP유형FP 유형영문명한글명사용 예시EIExternal Input외부입력 EOExternal Output외부출력평균, 합계 등 기타 수식에 의해 계산된 데이터를 사용한 파생데이터 인 경우EQExternal Inquiries외부조회SELECT * FROM 등으로 DB의 데이터를 계산없이 그대로 표출ILFInternal Logical Files내부논리파일 EIFExternal Interface Files외부연계 파일외부 .. IT/ETC 2022. 11. 21. [windows 10] "이 하드 디스크 공간에 Windows를 설치할 수 없습니다."... Windows 설치 시 파티션 구조의 문제로 "이 하드 디스크 공간에 Windows를 설치할 수 없습니다..." "이 디스크에 Windows를 설치할 수 없습니다. 선택한 디스크가 GPT 파티션 스타일입니다..." "이 하드 디스크 공간에 Windows를 설치할 수 없습니다. 파티션의 유형을 인식할 수 없습니다..." 위와 같은 종류의 에러를 만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추후 윈도우 포맷 시 보기 위해서 기록을 남김. 정리하면 BIOS(Basic Input/Output System)가 레거시로 되어 있는 경우 부팅 디스크는 MBR 파티션을 사용해야 되고 UEFI인 경우는 GPT 파티션을 사용해야 함 bios는 레거시와 UEFI모드가 있다. 레거시는 오래된 유틸리티이고 UEFI는 최신 PC용의 표준 펌웨어 .. IT/ETC 2022. 11. 21. [windows]Turn off window 10 update/윈도우 10 업데이트 끄기 목차 Turn off Windows 10(윈도우10 업데이트 끄기) Windows 10 users will agree. If you do it with the automatic update recommended by ms, the update suddenly disappears and you lose the document. Updates are executed at important moments, causing annoying situations. 윈도우10 사용자는 공감할거다. ms에서 권장하는 자동 업데이트로 하게 될 경우 업데이트가 갑자기 되서 문서를 날려먹거나 중요한 순간에 업데이트가 실행되어서 짜증스러운 상황이 발생한다. So I found out how to turn off the upda.. IT/ETC 2022. 11. 21. [windows]windows 10 usb install/windows 10 usb 설치 목차 Windows 10 usb install ※ Write under the assumption that you have a window 10 boot disk. Assume that os is window 10 pro. First of all, you have to change the booting order of the computer. After booting the computer, you can enter the bios (Basic Input/Output System) and change the settings -> The BIOS entry method varies from manufacturer to manufacturer, but you can google it. "Laptop mode.. IT/ETC 2022. 11. 21. [linux] linux 파일 생성 날짜 확인(feat. ls 확장 옵션) 목차 linux 파일 생성 날짜 확인😃 리눅스에서 자주 쓰는 명령어가 ls -al인데 이 명령어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마지막 수정날짜만 표시가 된다. 하지만 업무를 하다보면 파일/디렉토리의 최초 생성일을 알아야 할 경우가 있는데 이 때 아래처럼 ls 확장 옵션을 사용하면 된다. ls "여기에 옵션이 붙는다." -al ls --time-style full-iso -al *(이 경로의 모든 걸 뜻함) ls --time-style long-iso -al * ls -al의 날짜 포맷 직접 지정 ls --time-style="+%Y:%M:%d"(날짜 포맷 직접 지정) -al * 더 자세한 가이드는 아래처럼 확인하면 된다. 참조 : 무한대로님 블로그, 2020.08.19, https://sidepower.tisto.. IT/ETC 2022. 11. 19. [linux]systemctl start 에러 시행착오 목차 ex) systemctl start postgresql-9.6.service Job for postgresql-9.6.service failed because the control process exited with error code. See "systemctl status postgresql-9.6.service" and "journalctl -xe" for details. systemctl에 등록된 서비스 실행 시 위와 같은 에러를 발견하는 운 나쁜 경우가 생기면 systemctl status postgresql-9.6.service(등록된 서비스명)과 journalctl -xe를 통해서 로그를 확인해서 문제를 해결해야 함 회사에서 postgreSQL가 root로 systemctl start로.. IT/ETC 2022. 11. 19. 이전 1 2 다음